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건강] 철학적 죽음 치매에 대해서 알아보자. 1편 치매는 생물학적 죽음이 아닌 철학적 의미에서 죽음을 뜻한다. 알츠하이머 1호 환자였던 아우구스테 데터가 "나는 나를 잃어버렸어요" 라고 발언한 것을 보면, 생물학적으로 살아 있음에도 철학적으로는 나의 존재와 양립할 수 없는 죽음이 나의 부재로 인해 성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억살(記憶殺)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치매(癡呆, Dementia)의 정의는 '인지 기능의 장애로 인해 일상 생활을 스스로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참고로 병명 자체는 이매망량(魑魅魍魎)에서 유래한다는 설도 있다. 옛날에는 魑를 '치'로 읽었으므로 이 설에 의한다면 '치매'는 "도깨비의 장난"이라는 뜻이 된다.법률상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指.. 더보기
[건강] 프로게이머가 잘 걸리는 병 수근관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자. 수근관 증후군은 손목굴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손목 한가운데의 빈 공간(수근관) 중앙을 통과하는 정중신경(正中神經;median nerve)이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서 압박이 가해져서 장기적인 통증이 일어나거나, 심할 경우 엄지 등이 마비되어 잘 움직여지지 않는 증상 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증이 저녁에 더욱 심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추운 날에 유난히 손이 시리고 저려온다면 이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정중신경의 경로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드물게 통증과 저림 현상이 팔 전체로 뻗치기도 합니다. 심각할 경우 근육의 무기력증 및 엄지두덩위축증(thenar atrophy)이 보여지기도 합니다. 대개 하루종일 키보드와 마우스를 붙들고 있는 사무직 종사자나 프로게이머 그.. 더보기
[건강] 고산병에 대해서 알아보자. 순화과정 없이 고도가 낮은 곳에서 해발 3,000m 이상 되는 고산, 고원 등 고지대로 갑자기 올라갔을 때 산소가 부족하여 나타나는 질환. 대한민국에는 세계적 기준에서 고산병이 발생할 만큼 높은 산은 거의 없기 때문에 경험하기 힘들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축구 등 격렬한 운동을 할 경우 해발 1000m 대의 화악산 공군방공관제사령부 기지 근무자들 같이 1000~1200m 대에 위치한 사람들은 충분히 겪을 수 있다. 혹은 별 다른 적응과정 없이 대관령이나 미시령 등 1000미터에 근접하는 지점에 갑자기 올라와도 머리가 아프고 귀가 멍한데 그게 고산병이다. 만일 해발 3000미터 대에서만 고산병 증세가 나타난다면 테헤란 원정을 떠나는 외국 축구팀들이 줄줄이 물 먹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북한의 경우 해발 2.. 더보기
[건강] 어깨 결림에 대해서 알아보자 어깨 결림은 말 그대로 어깨가 결리는 모든 현상을 뜻하는 말입니다. 어떤 식으로든 어깨가 결리면 어깨결림이다. 만약 지금 어깨가 아프면 그것이 바로 결린 것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질병들이 원인이 되어 발생될 수 있으며, 경추 염좌(흔히 말하는 목을 삐는 것.),오십견,거북목 증후군,목디스크 등의 중대한 질병들과의 관련성도 있을 수 있으므로 무조건 근육통이라 생각하기 보다는 개인별로 정확한 병원 진단이 필요합니다. 어깨결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여러 질병 중에서도 가장 흔한 질병은 근근막 통증 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또는 근막통증후군이라 불리는 질병으로서, 이 진단명은 근육의 어느 특정부위에 힘을 빼고 싶어도 뺄 수 없는 Taut Band가 잡혀있는 그 상태를 말합니다. 어깨.. 더보기
[건강] 협심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영어 표현의 어원은 각각 Angina는 "통증"을, Pectoris는 "가슴"을 의미합니다. 이를 한문으로 협심증이라고 하는 이유는 가슴이 조이듯이 아프기 때문입니다. 그냥 가슴이 답답한 상태면 여러가지 원인이 있고 즉각조치도 필요하지 않지만, 만일 가슴이 조이듯이 매우 아프면 협심증 아니면 심근경색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참고로 보통 심장을 바이스로 찍어누른다던가 하는 등 어마어마한 통증이 밀려오는데, 주변에 사람이 있으면 절대로 숨길 수 없습니다. 숨기고 참을 수 있다면 협심증 수준까지는 아닙니다. 언제 사망할 지 모르는 위험한 상태이므로 즉시 2차 병원 응급실로 가거나 보내야만 합니다. 그 즉시 119를 불러서 큰 병원 응급실로 가야만 합니다. 응급실에 환자가 도착하면 의사가 환자 곁을 가급적 .. 더보기
[건강] 심근경색에 대해서 알아보자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은 혈관의 크기에 비해 많은 혈액을 보내야 하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그래서 고장이 아주 잘 나는 편입니다. 특히 혈관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달라붙거나, 혈관이 갑자기 좁아지는 등 이상운동을 보인다던가, 혈액 순환 도중에 생긴 혈전이 혈관을 막는 등 여러 원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원인들로 인해 혈류 공급이 차단되면, 그 피를 받는 부위의 심근이 제기능을 하지 못해 다른 정상 심근과 조화로운 운동을 하지 못합니다. 이 과정에서 몇 분간 극심한 통증이 생겨나며, 자연스럽게 혈액공급이 재개될 경우 통증은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이를 '협심증'이라 합니다. 하지만 자연스럽게 혈액공급이 재개되지 않고 막힌 상태가 유지되면, 심장근육은 괴사하기 시작합니.. 더보기
[건강] 뼈의 위험 골다공증을 알아보자. 골다공증은 뼈의 질환으로 특히 여성에게 다발하는 병. 뼈의 밀도가 낮아지고 구조가 엉성해져 강도가 약해지는 것이 병적일 정도인 상태를 말합니다. 밀도가 줄어들면서 뼈가 부서지기 쉽고(fragility), 특히 병적인 골절(fracture)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의학적으로 뼈밀도가 젊은 성인에 비해 2.5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이하일 경우를 골다공증이라 합니다. 사실 원래 뼈는 성장기까지 자라게 되다가 그 이상 강해지지 않고 대개 점차 약해지며, 특히 골밀도는 쭉쭉 내려갑니다. 약 30살 까지 뼈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이때까지 최대골량(peak bone mass)을 달성하지 못하거나 골흡수(bone resorption)가 병적으로 증가할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더보기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