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레버리지 잘 모르시겠다고요? 그렇다면 이것을 꼭 보세 : EBS 다큐프라임 [돈의 얼굴 4부 - 떼인 돈 받아드립니다] 1. 대출은 은행의 ‘상품’이다이 구간의 시작은 은행이 돈을 ‘어떻게’ 버는지에 대한 현실적 설명이다.영상은 이렇게 말한다.“은행은 대출을 파는 곳이다. 빚은 은행의 상품이다.”많은 사람들이 은행은 돈을 보관해주는 안전한 공간이라 생각하지만,사실 은행은 돈을 ‘빌려주는’ 금융기관이다.그리고 그 수익의 핵심은 바로 이자 차익, 즉 ‘스프레드’다.[예시 – 은행의 수익 구조]고객 A가 은행에 100만 원 예금은행은 이 중 10%인 10만 원만 지급준비금으로 남겨두고나머지 90만 원을 고객 B에게 대출고객 A에게는 3% 이자(3만 원)를 지급고객 B에게는 10% 이자(9만 원)를 부과은행의 순이익 = 6만 원이러한 구조에서 대출이 많을수록, 은행은 더 많은 이자 수익을 거두게 된다.즉, 은행은 대출이 ‘안정적.. 더보기 이자, 이율 머리 아프세요? 그렇다면 이것을 보세요 : EBS 다큐프라임 [돈의 얼굴 2부 - 이자 굴려드립니다.] 대출과 금리의 진실: 당신이 몰랐던 실질 금리의 함정금리가 오르면 왜 우리는 더 힘들어질까?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의 차이를 알면 보이는 진짜 돈의 세계1. “지금 대출 안 받으면 바보다?” 팬데믹 시기의 착각2020년 팬데믹이 전 세계를 강타하던 시기, 각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초저금리 정책을 시행했습니다.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었고, 은행 이자는 낮았으며 대출의 문턱은 유례없이 낮아졌습니다.많은 사람들이 그 기회를 활용해 부동산 투자, 주식 자금, 사업 자금 등으로 대출을 받았습니다.이 시기 대출을 받은 한 인터뷰이는 이렇게 말합니다.“처음 대출을 받을 땐 월 100만 원 정도면 부담되지 않을 거라 생각했어요.”하지만 이는 곧 잘못된 판단의 시작이었습니다. 문제는 금리가 그 자리에 머물지 .. 더보기 돈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싶으세요? 그렇다면 이것을 보세요 : EBS 다큐프라임 [돈의 얼굴 1부 - 돈을 믿습니까?] 돈의 역사와 현대 경제 시스템: 화폐의 기원부터 명목 화폐까지돈은 단순한 거래 수단이 아니라, 인류 문명의 발전과 함께 진화해 온 신뢰의 시스템이다. 초기 물물교환에서 시작해 철전(鐵錢), 차(茶) 화폐, 종이돈을 거쳐 현대의 명목 화폐와 디지털 화폐로 변화했다. 특히, 돈의 개념은 단순한 교환 수단을 넘어 신용을 기반으로 한 금융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이 글에서는 돈의 기원과 발전 과정, 현대 경제에서 돈이 작동하는 원리, 그리고 화폐 시스템의 미래에 대해 깊이 탐구한다.1. 돈의 기원과 발전1.1. 물물교환에서 화폐로초기 인류는 물물교환을 통해 필요한 물건을 교환했다. 하지만 물물교환은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다.일치하는 교환 상대를 찾기 어려움예를 들어, 어부가 잡은 물고기를 옷과 바꾸려 해도, .. 더보기 부자가 되고 싶으세요? 그렇다면 읽어 보세요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1부 돈은 빚이다 자본주의의 진실: 돈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라지는가?오늘날 우리는 금융 자본주의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돈의 흐름을 이해하지 못하면 경제 시스템의 희생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본주의의 본질, 금융 시스템의 작동 원리, 그리고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금융 자본주의란 무엇인가?현대 사회는 금융 시스템이 지배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본주의란 결국 "돈"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이며,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능력이 개인과 기업의 성공을 좌우합니다.금융 자본주의의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금융이 경제의 중심: 기업과 개인의 모든 경제 활동이 금융을 통해 이루어짐.부채 중심 경제: 대출을 통한 경제 성장 모델이 일반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