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장사건물주 강호동] 채널의 "부자들의 은밀한 술토크"에서 이하영 원장님과의 인터뷰편을 바탕으로,
짧은 자극보다는 긴 호흡의 인사이트를 원하는 분들께 권합니다.
저 역시 깊은 울림을 받아, 기록하고 나누고자 정리해두었습니다.
1. "나는 이미 부자가 될 줄 알았다" – 이하영 원장의 확신
이하영 원장은 자신이 재수하던 20살에 이미 45세쯤 되면 강남에서 성공한 의사가 되어 있을 거라는 사실을 ‘믿었다’가 아니라 ‘알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는 단순한 희망이 아닌 미래에 대한 앎이 현재의 행동을 결정짓는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그는 인턴, 레지던트, 개원까지 17년간 의학과 삶에 몰입했고, 이후 부를 이뤄냈다.
이처럼 진짜 부자는 “언젠가 부자가 되고 싶다”는 막연한 소망이 아니라, “나는 그렇게 될 사람이다”라는 확신으로 현재를 살아간다.
2. 1억을 모으는 경험이 부자의 시작점
이 원장은 1억을 모으는 경험이 인생을 바꾼 첫 번째 허들이었다고 말한다.
그는 첫 1억을 모으는 데 4년이 걸렸고, 두 번째는 3년, 그다음은 2년 만에 모았다.
시간이 줄어드는 만큼, 자신 안에 “나는 이걸 해낼 수 있는 사람이다”라는 자존감이 커졌다고 강조한다.
1억을 모은다는 것은 단지 금액을 쌓는 것이 아니라, 마인드셋을 단단히 다지는 과정이다.
자신을 신뢰하게 되는 가장 현실적이고 강력한 경험이다.
3. 레버리지는 대출이 아니라 '앞단의 힘'이다
레버리지를 설명할 때 이 원장은 의사들의 사례를 들었다.
"의사들이 큰 대출을 받아 개원했지만 망하는 이유는, 앞단의 경험과 내공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길이가 긴 작대기가 있다 해도, 그걸 지탱할 돌이 작다면 아무것도 못 들어올린다.
이 돌이 바로 ‘앎’이다.
부동산을 하려면 부동산에 대한 앎이, 마케팅을 하려면 마케팅에 대한 앎이 필요하다.
그래야 긴 지렛대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크게 일어난 만큼, 크게 꺾이는 부채의 함정에 빠진다.
4. "나는 강남 의사다" – 믿음이 아닌 앎으로 현실을 만든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이미 과거에 확정해두었기 때문에 지금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실제로 그런 삶이 펼쳐졌다.
이는 단순한 자가최면이 아니라, 행동과 사고방식을 바꾸는 원동력이 되었다.
미래가 원인이 되어 현재를 바꾸고, 현재가 과거를 만든다는 말은 이 원장의 인생철학을 잘 보여준다.
“나는 이미 되어 있다”는 인식이 현재의 노력을 만들어내는 출발점이 된다.
5. 남을 시기하는 대신, 내 인생의 배경으로 삼아라
많은 이들이 다른 사람의 성공을 시기하거나 깎아내리려 한다.
이 원장은 이에 대해 “우리는 파란 하늘을 시기하지 않듯, 사람도 시기하지 말고 자연처럼 바라보라”고 조언한다.
실제로 그는 강남의 고급 아파트, 숲이 보이는 전경을 배경 삼아 살아가며 말한다.
“이건 내 삶의 무대이며, 나를 풍요롭게 해주는 자연이다.”
그는 사람을 비교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자신의 삶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배경'으로 본다.
이런 시각의 전환이 비교의 감정을 없애고, 자존감을 지켜준다.
6. 진짜 부자는 남의 행복 위에 자신의 행복을 쌓는다
이하영 원장은 어릴 적 엄마의 가르침으로 헌금하는 습관을 가졌다고 한다.
100원 중 200원을 쓰고, 500원을 헌금하던 그에게 엄마는 “부자는 많이 베푸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이후 그는 돈을 줄이는 것 같아도, 세상에 준 만큼 반드시 더 큰 보답이 돌아온다는 사실을 체험했다.
부는 내가 얼마나 세상에 선물을 주었는가에 따라 온다.
그는 실제로 남을 도우려는 고민에서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그 아이디어로 더 많은 사람을 돕고 부를 이뤘다고 말한다.
7. 욕구와 욕망, 탐욕을 구별하라
그는 욕구와 욕망, 탐욕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한다.
- 욕구: 자연스러운 본능. 일하고 벌고 쓰는 건강한 욕망.
- 욕망: 비교를 통해 생기는 더 갖고 싶은 마음.
- 탐욕: 선을 넘은 소유욕. 협업을 깨뜨리고, 공동체를 망가뜨린다.
진짜 부자는 이 욕망을 절제할 줄 안다.
그는 "서울대 가고 싶다면 공부하면 된다. 공부 안 하고 서울대 가고 싶다는 건 욕심이다."라고 단호히 말한다.
8. 자식 교육도 독립이 먼저다
그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서도 독립을 강조한다.
- 물리적 독립
- 경제적 독립
- 관계적 독립
- 무의식의 독립
부모가 자식을 지배하려 할수록 자식은 자립하지 못한다.
이 원장은 "부모의 소유물로 자식을 생각하지 말고,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9. 결론: 당신이 부자가 아닌 이유는 '마음' 때문이다
결국 부자가 되는 것은 지식, 운, 환경보다도 사고방식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이하영 원장의 사례들은 부를 이룬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 미래의 자신을 확신하고, 현재를 설계한다.
- 남을 끌어내리지 않고, 스스로를 올린다.
- 1억을 모으는 경험을 통해 자존감을 쌓는다.
- 남을 도우며 아이디어와 동기를 얻는다.
지금까지 당신이 부자가 되지 못했던 이유는 능력 때문이 아니다.
아직 마인드셋이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금 이 글을 읽은 이 순간부터, 당신의 사고방식을 바꿔야 한다.
그것이 진짜 부자로 가는 첫걸음이다.
📎 출처
- 유튜브 영상: https://youtu.be/8qcQx1FzWZ8?si=npWP5zTL7Qb01iwm
- 내용 출처: 영상 속 이 하영 원장님의 실제 발언과 사례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정리 목적: 해당 영상의 주요 내용을 기록하고 정리해, 더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