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서는 여러 가지 예금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의 유치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소비자들이 여러 가지 상품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것을 선택, 운영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두드림 통장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아마 두드림 통장에 대해서 다 들어봤을 것입니다. 두드림(Do dream) 통장은 SC제일은행에서 현재 발매하고 있는 입출금 자유 예금 상품으로, 2008년 4월 1일에 출시했습니다. 예금 이자와 수수료 면제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통장. 현재 SC제일은행 창구에서 별말 없이 입출금통장을 만들어 달라고 하면 개설해 줄 정도로 SC제일은행의 간판 상품입니다. 스탠다드차타드 영국 본사가 리버풀 FC의 후원사다 보니 리버풀 엠블럼이 새겨진 체크카드를 제공했습니다. 시중에 발매하고 있는 종이통장 중에서는 아무런 조건 없이 전국의 모든 은행 ATM에서 현금 출금 수수료가 무제한 면제되기는 하지만, 반대로 현금입금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덤으로 전자금융 타행이체 수수료까지 무제한 면제되는 상품입니다. 참고로 편의점이나 지하철역에 있는 VAN(공동망) CD기는 제외합니다. SC제일은행 제휴 공동망 CD는 면제되었으나 현재는 공동망이기 제휴가 대거 종료되어 이마트에 있는 일부 SC 제휴 공동망 기기에서만 적용이 됩니다. 예금 이자도 선입선출식으로 31일 이상 유지 시 2.1%이며, 2014년 3월 기준입니다. 처음에는 세전 4%이었는데, 2010년이 되니 세전 3.6%, 2010년 12월부터는 세전 3.3%, 2012년부터는 3.03%, 2013년 1월부터는 2.8%로 매년 깎이다가 결국 2013년 4월부터는 세전 이율 2.5%가 되었다. 문제는 또 떨어졌다는 사실입니다. 기본 이율은 그렇고 신용카드 결제계좌 등 조건이 더 붙으면 5%대의 이자도 받을 수 있지만, 선입선출로 계산하기 때문에 수시입출금통장으로 쓰면서 5%대의 이자를 받기는 쉽지 않습니다. 결국, 두 개 열어놓고 하나는 수수료, 하나는 이자를 챙기거나 아니면 둘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한다는 소리입니다. 1인 1계좌가 아니라서 한 사람이 열 개를 개설해도 혜택은 그대로입니다. 사실 다른 은행 ATM 현금인출 수수료 면제 혜택은 처음 출시되었던 2008년 4월과 5월 두 달간만 한시적으로 제공될 예정이었으나, 예상보다 두드림의 가입자가 많아지자 2009년에 전격적으로 기본 혜택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2009년까지는 다른 은행 ATM 인출 시 수수료가 0원으로 안 뜨고 실제 다른 은행 출금 수수료 액수가 떴었다. 한시적 프로모션이다보니 공동망 전산상에 면제 등록을 안 해 놨던 것입니다. 하지만 기본 혜택이 된 이후인 2009년 하반기에 전산 수정이 되어서 수수료는 0원으로 뜨고 있습니다. 일단 수수료 혜택부터가 워낙 뛰어나다보니 전체 예금의 13%에 달하는 유치 실적은 물론이거니와 출시 7개월 만에 1,000억 원이 넘는 순이자 수익을 달성했기 때문입니다. 타행 인출 수수료의 원가가 자행 전산 비용 500원에 공동망 수수료 450원인데 이걸 면제해 주면서 동시에 1,000억 원을 벌었다는 점이 꽤 흥미로운데, 이거야말로 고객과 은행이 서로 윈윈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잖아도 SC제일은행은 지점망이 타 은행과 비교하여 썩 좋은 편이 아니었기 때문에 고객 유치에 애를 먹고 있었는데, 이걸 단번에 만회해 준 상품이라서 현재까지도 효자 상품으로 당당히 남아있습니다. 2012년 인터넷뱅킹이 업그레이드되면서, 인터넷으로 무통장식 두드림통장을 신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같이 출시된 체크카드로 두드림 체크카드가 있었습니다. 체크카드에 흔치 않은 약국 할인 옵션이 있어서 체리피커들의 먹잇감이 되었습니다. 원 상품은 Maestro와 은련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2012년 3월부터 NEW 두드림 체크카드로 바뀌면서, 리버풀 엠블럼이 새겨진 체크카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Maestro만 발급이 가능합니다. 물론 e-클릭 등 다른 상품에도 NEW 두드림체크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체카 대 숙청 때 약관이 싹 다 변경됨과 동시에 개악이 되어서, 현재는 두드림플러스 체크카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6년에 단종되었습니다. 한 때 개인금융에 큰 뜻을 품었던 모 국책은행에도 비슷한 상품들이 있었습니다. 이명박 정부 때의 이야기입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사실상 한국산업은행에서 개인금융은 최소한으로만 유지하는 분위기입니다. 예전에는 조건이 이것저것 붙어 있었으나 2011년 9월에 출시된 모 상품의 경우 2012년 7월부터 조건 없이 모든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물론 지점 수가 턱없이 적은 건 어쩔 수 없습니다. 게다가, 이 상품은 이자 적용시 선입선출식이 아니라는 강력한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2013년 7월에는 서울에서 영업하면서 서울 지역 개인고객 신규를 무조건 대포통장으로 몰아대던 모 지방은행이 서울 지역 한정으로 다이렉트 뱅킹 상품을 런칭하여 2016년 2월 18일까지 판매했습니다. 바로 위에서 소개한 그 국책은행의 상품과 수수료 혜택까지 99% 동일합니다. 1%에 해당하는 차이점은 타행 ATM으로 입금하는 것까지 면제되는 것과 제휴 ATM에서는 수수료가 부과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긴 위의 국책은행보다도 지점 수가 적습니다. 하지만 2017년 1월에 개악이 단행되었습니다. 2016년 3월 2일 이후 금리는 매 입금일로부터 30일까지 0.01%, 그 이후는 0.6%입니다. 물론 세전 기준이므로 세후로 계산하려면 여기서 15.4%(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를 빼야 합니다. 2016년 7월 1일 금리가 다시 한 번 더 내려갑니다. 입금일로부터 30일까지 세전 0.01%, 31부터 세전 0.4%입니다. 출시된 지 8년만에 금리가 1/10도 안 되는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두드림2U통장은 위의 두드림 통장의 후속으로서 등장했습니다. 후속작인 만큼 선입선출식이고 첫 31일 간 이자가 거의 없다는 점은 같습니다. 가장 큰 차이로 수수료 면제 혜택이 없고, 두드림 통장의 금리보다 높은 금리를 주는 대신 예치기간 6개월을 기점으로 금리가 깎이는 독특한 방식입니다. 그러나 6개월 이후 금리가 깎여도 두드림 통장보다 높기 때문에 2013년부터는 무조건 두드림2U로 갈아타는 것이 이득입니다. 물론 두드림 통장처럼 매년 금리가 깎여나갈테니 언젠가는 다른 통장으로 가야하는 것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참고로 SC제일은행은 예금 규모 및 거래 규모에 따라 360 리워드라는 포인트를 주는데, 이것으로 수수료를 대납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에 기술할 '비상금 예치' 혹은 '6개월간 단기적금 대용'으로 사용한다면 가끔 계좌이체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문제도 큰 단점은 되지 않습니다. 두드림2U의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시 해에는 31일초과~6개월까지 4.0%, 6개월 초과 3.3%이였습니다. 2012년에는 31일 초과~6개월까지 3.8%, 6개월 초과 3.0%이고, 2014년 9월부터 2015년 1월 1일에는 31일 초과~6개월까지 2.3%, 6개월 초과 1.8%이였습니다. 2015년 1월 2일부터 4월 1일까지 31일 초과~6개월까지 2%, 6개월 초과 1.4%이며, 2015년 4월 1일에는 31일 초과~6개월까지 1.7%, 6개월 초과 1.1%이였습니다. 2016년 3월 2일부터는 31일 초과~6개월까지 1.15%, 6개월 초과 0.55%입니다. 추천하는 응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두드리 통장과 두드림2U통장의 가장 큰 특징은 '자유입출금식'과 '첫31일간은 이자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와 '비교적 높은 금리'입니다. 따라서 이 통장들의 가장 적합한 사용 방법은 언제 꺼내어 쓸 지는 모르지만, 필요하면 바로 꺼내 쓸 수 있어야 하는 돈을 예치해두는 것입니다. 두드림 통장은 항목에 기술된 것처럼 '자유입출금식에서는 높은 금리'와 '수수료 면제'의 장점을 다 갖고 있었기에 통장을 두 개 개설해 각각을 챙겨먹는 것이 추천되는 활용법이었습니다. 그러나 2012년 현재 금리 면에서는 더 높은 두드림2U통장이 나왔고, 수수료 측면에서는 급여이체나 70만원 이체만 있으면 동일한 수수료 면제 혜택이 생기는 내 지갑 통장이 있어서 두드림 통장의 입지는 미묘해졌습니다. 고정적인 수입은 없는데 수수료 면제를 노리고 싶다면 아직 적절할 지도 모릅니다. 두드림2U통장은 수수료 면제 혜택이 없어진 대신 6개월까지의 이자가 더 높은 상품이기 때문에, 원래의 활용법대로 비상금을 예치해 두거나, 6개월까지의 단기적금 대신으로 활용하면 됩니다. 불의의 실직이나 사고에 대비해 3개월분의 생활비를 따로 준비해두는 것이 추천되는데, 이런 비상금은 필요하면 당장 꺼내야 하므로 수시입출식 통장에 예치해야 합니다. 저축은행을 제외하면 6개월짜리 적금에 3%를 주는 곳은 거의 없는데, 두드림2U의 금리는 첫달에 금리가 거의 없는 것을 감안하고 계산해도 일반적인 적금 방식으로 3.1%의 금리에 가깝습니다. 이렇듯 두드림 통장은 각자에게 맞는 상황에서 사용할 때에야 빛을 발합니다. 여러 금융 상품들을 자세히 숙지하는 것은 오늘을 살아가며 내일을 준비하는 자세라 하겠습니다.
'금융의 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양날의 검 파생상품에 대해서 알아본다. (0) | 2017.06.25 |
---|---|
[금융] 테마주란 무엇인가? (0) | 2017.06.24 |
[금융] 장기투자란 무엇인가? (0) | 2017.06.23 |
[금융] 벤처캐피탈이란 무엇인가? (0) | 2017.06.22 |
[금융]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본다. (0) | 201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