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의 바다

[데빌책방 ➉-2] 불행하다고 느끼신다면 이것을 꼭 보세요 - '하버드대 최고의 행복 강의- 완벽의 추구' : 탈 벤-샤하르

728x90
반응형
SMALL

1부에 이어서 갑니다.

3. 완벽을 넘어 최적으로

(1) 변화의 첫걸음

엘렌 랭거와 제자 로랄린 톰슨

  • 완벽주의에서 최적주의로 가는 변화가 왜 어려운지 실험
  • 어떤 긍정적인 성향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그 이면에 있는 부정적인 측면을 바꾸는 것을 어려워한다.
  • ‘일관성’을 높이 평가한 사람들은 ‘경직성’에서 벗어나는 것을 힘들어했다.
    • 그 이유는 마음 한 구석에 경직성을 버리면 일관성까지 줄어들 거라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➁ 연구원 다이애나 니어

  • "두 가지 이상의 분명하게 구분이 되는 하위 측면들로 해체하고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지나치게 걱정이 많은 성격의 이면에 있는 긍정적 측면
    • 다른 사람들에게 애정과 책임감을 갖는 것.
  • 지나치게 분주한 생활
    • 추진력이 있다거나 일을 열심히 하는 것.
  • 이처럼 완벽주의에서 최적주의로 변화하려면, 자신의 성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긍정적인 부분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2) 왜곡된 생각을 제거하라

인지심리학자

  • 잠재의식과 조건화의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생각이나 아이디어, 판단 같은 의식에 초점을 맞춤.

사건 → 생각 → 감정

  • 예) 데이트 거절 →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라는 결론 → 몇 달 동안 비참한 기분.

왜곡된 감정을 극복하는 법 (PRP 단계)

  • 감정 허용(permission)
    • 글로 쓰는 것이 최상책.
    • 조용히 앉아서 감정을 경험하는 것도 도움이 됨.
  • 재구성하기 (reconstruction)
    •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해석으로 바꾸는 것.
    • 토머스 왓슨: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패율을 두 배로 높여야 한다."
  • 거리를 두고 바라보기 (perspective)
    • 시험 성적을 망쳤다고 해서 실제로 인생에서 성공할 확률이 줄어들까?
    • 강의 중에 말을 더듬었다고 해서 1년 후에 큰일이 일어날까?
  • 우리의 생각이 감정을 결정하며, 이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상대방의 입장이 되라

칼 로저스

  • "치료사의 역할은 내담자에 대해 조건 없이 긍정적인 관심을 보여주는 것"
  • "내 목표는 성심성의껏 안전하고 따뜻하며, 공감하는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감을 표시할 때에는 전혀 다른 메시지와 함께 한다.

  • 1단계: "나는 너와 함께 있다. 너를 걱정하고 있다. 너는 나를 믿어도 된다."
  • 2단계: "나는 너를 믿는다. 너는 똑똑하고 유능하니까 이 일을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상대방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지지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4) 감정은 영혼의 표현이다.

의료계는 감정적으로 겪는 불편을 약으로 쉽게 해결하려고 함.

  • 이는 고통스러운 감정은 무조건 없애야 한다는 믿음을 반영한 것.

감정을 읽고 그 안에 담긴 메시지를 이해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 모든 감정에는 반드시 원인이 존재하며, 그에 따른 결과도 존재한다.
  • 감정을 억누르기보다는, 이를 인식하고 건강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고통이 주는 놀라운 선물

니체

  • "우리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은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든다."

헬렌 켈러

  • "인격은 편안하고 조용하게 발달할 수 없다. 시련과 고통의 경험을 통해서만 영혼이 강해지고 비전이 분명해지며 꿈을 꾸게 되고 성공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 "세상은 나를 위해 창조되었다" 와 "나는 먼지와 재에 불과하다"
  • 이 두 가지 생각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6) 나를 사랑하는 것이 먼저다

달라이 라마

  • "나 자신이 먼저입니다. 나를 받아들인 다음에 다른 사람들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 차원 높은 동정심은 이기심이 발전한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 혐오가 강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진정으로 동정하기 어렵습니다."

나다니엘 브랜든

  • 자기연민과 매우 유사한 '자기 수용'이 자긍심을 받쳐주는 기둥의 하나라고 강조

(7)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조건을 달아서 폄하하는 경우가 많다.

  • 월트 디즈니 : " 그런데 그 사람은 직원들에게 인색했다고 하더군요
  • 빌 게이츠 : 그렇지만 그는 독과점을 했다
  • 링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찰스턴에서 백인의 우월성을 옹호하는 연설을 했다

부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면 단점을 능동적인 힘으로 여기고 장점을 수동적인 힘으로 여긴다.

  •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면 장점을 현실에서 생산적인 힘으로 여기고 단점을 장점의 부재로 여긴다.

1910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 명예는 실제로 전장에 있는 사람에게 있다. 우리는 실패의 위험을 무릅쓰고 도전하는 사람들을 찬양해야 한다. 그들을 승리하지도 패배하지도 않는 냉소적이고 소심한 사람들과 같은 위치에 세워서는 안 된다

(8) 나이 듦의 즐거움

예일대 베카 레비 교수 연구

  • 노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기억력이 향상됨
  • 반대로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기억력이 감퇴함

마크 트웨인

  • "내가 열네 살이었을 때, 아버지는 너무 무지해 보였다.그와 함께 지내는 것이  견디기 어려웠다.
  • 하지만 스물한 살이 되었을 때, 아버지가 7년 만에 얼마나 많은 것을 배웠는지 알고 깜짝 놀랐다."

(9) 행복한 척하지 말라

심리치료사이자 컨설턴트 브랜든 블랜튼 <정직이 주는 통쾌하고 후련한 삶

  •  우리는 혼신의 힘을 다해 거짓말을 한다그러면서 기진맥해진다거짓말은 스트레스의 주범이다. 거짓말은 사람을 죽인다

언제나 감정을 숨김없이 보여주라는 의미가 아니다따라서 우리는 감정을 여과없이 드러내는 것과 완벽히 감추는 것 사이에서 적절하게 표현해야 한다.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내는 것과 완전히 감추는 것 사이에서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10) 모르는 것, 모른다고 인정하기

우리는 모른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불안을 느낀다.

무지를 인정하면, 우리 몸은 미지에 대한 불안감을 경외감과 경이로움으로 재구성할 준비가 된다.

소크라테스: "나는 아는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것은 "완벽을 추구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최선"을 찾으라는 것이다.
우리는 종종 실패를 두려워하고, 실수를 하면 가치가 떨어진다고 느끼지만, 실제로 성공한 사람들은 실패를 성장의 기회로 받아들이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 

 

완벽한 성공이나 완벽한 사랑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도 강조한다.
관계에서도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실수나 단점보다는 장점을 바라보는 태도가 중요하다.
실제로 심리학 연구에서도 긍정적인 경험이 부정적인 경험보다 5배 많아야 관계가 유지된다는 점이 나오는데,
이 부분은 부모-자녀 관계, 연인 관계, 직장 내 인간관계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원칙.

 

 

달라이 라마의 말처럼,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타인을 온전히 사랑할 수도 없다. 자기 수용이 곧 자존감을 높이는 핵심 요소다.

 

 
728x90
반응형
LIST